개요
2015년 4월 28일에 운영 시작한 io게임. 다른 세포로부터 자신의 세포를 지켜내고 팀 플레이를 하며 순위권으로 뻗어 나가는 게 주요 목표이다. PC 버전과 모바일 버전이 각각 존재한다.[1] 개발자는 브라질 게임 개발자인 마테우스 발라다리스(Matheus Valadares)[2]이다. 2015년 5월부터 7월까지 급속하게 전세계에 확산하였다(구글 디트렌드 기준). 한국에서는 아가리오, 세포키우기 등의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3]
게임방법
게임 내에서는 일정 시간마다 생기는 작은 알갱이와 가시가 많이 달린 바이러스가 존재한다. 작은 알갱이는 많이 먹고 자라야 하며 바이러스는 16분열된 상태가 아닐때 먹으면 많이 분열된다. 많은 질량을 소유한 세포는 적은 질량을 소유한 세포를 잡아먹을 수 있고, 적은 질량을 소유한 플레이어는 자신보다 질량을 많이 소유한 세포로부터 도망가야 한다.
게임 방법
메인 화면의 Play 옆에 있는 톱니바퀴 설정 창에서 No skins(스킨 안 보이게 하기), No names(닉네임 안 보이게 하기), Dark Theme(배경 어둡게 하기), No colors(색 없애기), Show Mass(자신의 크기를 세포에 표시)를 설정 가능하며, 플레이를 하지 않고 단순히 관전을 하고 싶을 때에는 그 옆에 있는 Spectate 버튼으로 관전이 가능하다. 이 때 시야는 1등 세포의 것으로 고정. 시야를 움직이고 싶으면 Q를 누르고 중간에서 마우스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면 된다. 다시 Q를 누르면 1등 세포로 돌아간다.
조작키 |
용도 |
마우스 |
이동, 분열과 먹이 방출의 방향이다. 세포의 이동 방향과 빠르기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세포는 가운데를 기준으로 커서가 있는 방향으로 직진하며 세포와 커서 칸의 거리가 짧을수록 세포의 이동 속도는 감소하게 된다. 커서를 세포 가운데에 놓으면 세포가 움직이지 않는다. 세포와 커서 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 늘어져 세포가 최고 속도에 다르면 더 이상 빨라지지 않는다. 이 최고 속도는 세포의 크기에 반비례한다. |
Space / 분열 |
자신의 세포를 분열한다. 각각의 세포는 정확히 2등분으로 나눠지며 나누어 질 때 느리다가 약간의 가속이 붙어 분열 돼 자신보다 작은 세포를 먹는데 많이 쓰인다.[6] 분열로 풍차, 분열 이동 등의 기술도 가능하다. 플레이어 최소 분열 가능 질량은 35이고 최대 분열 세포 개수는 16개이다. 16개가 되면 더 이상 분열이 불가하기 때문에 바이러스를 터짐 없이 먹을 수 있다.[7] 재결합에 걸리는 시간은 질량 35을 기준으로 30초이다. 이 시간은 질량이 클 수록 더 늘어난다.[8] |
W / 먹이 방출 |
움직이지 않는 13질량짜리 알갱이를 나오게 한다. 일정 시간마다 생기는 작은 알갱이에 비해 확실히 크며[9], 테두리도 가운데에 비해 색이 조금 진하다. 녹색 바이러스와 갈색 바이러스도 먹을 수 있다. 한 번 나올때 17질량을 소모하며 팀한테 약간의 먹이를 주거나, 바이러스를 분열시키는 용도로 쓰인다. 팀에게 너무 많이 주면 종종 싫어하는 경우도 있으니 주의하자(어차피 그만큼 주진 않으니까). 자신이 쏜 먹이를 자신이 먹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자동으로 합쳐지기까지 촉박할때 한 세포에 몰아줄 수도 있다. |
Q / 관전 시야 전환 |
관전(SPECTATE) 도중에 Q키를 눌러 시야를 전환할 수 있다. 처음에 관전을 하면 1등 시야에 맞춰서 관전이 되는데 이 때 Q키를 누르면 마우스 포인터 위치로 시야를 움직일 수 있다. 다시 Q키를 누르면 1등 시야에 맞춰진다. |
마우스 휠 |
게임 또는 관전 도중에 마우스 휠을 이용하여 줌 인/아웃을 할 수 있다. |